목포 - 백과사전에서 만나는 목포
목포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포시 | |
---|---|
![]() | |
자료 | |
세대 | 90,511가구 |
총인구 | 241,679명 (2006) |
면적 | 47.92Km |
시장 | 정종득 |
소재지 | 목포시 용당동 |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항구도시이다. 주변에는 서쪽으로 신안군 도서들과 북쪽으로는 무안군, 동쪽으로는 영암군, 남쪽으로는 영암군 삼호읍, 해남군 등과 접하고 있다. 특히, 가수 이난영의 〈목포는 항구다〉, 〈목포의 눈물〉과 세발낙지, 흑산도 홍어, 삼학도, 유달산으로 유명한 도시로서 최근엔 목포시 옥암동과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 일원에 개발중인 남악신도시에 전남도청이 이전하여 목포를 비롯한 서남권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최근에는 목포역 주변의 원도심과 터미널 부근의 하당신도시, 도청이 있는 남악신도시의 옥암동과 임성리역 주변 등이 새로 개발되고 있으며, 목포 신외항을 중심으로 하는 개발이 진행 중이다.
[편집] 역사
- 삼국시대 삼한 중 마한지역에 속함.
- 백제시대 물아혜군.
- 1397년 조선시대 목포진 설치.
- 1439년 조선시대 목포만호진을 설치.
- 1897년 목포항 개항.
- 1913년 무안부를 목포부로 개칭, 19면 관할.[1]
- 1914년 호남선 철도 개통 (대전-목포).
- 1914년 무안군 부내면만 목포부로 편입.
- 1932년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 죽교리, 용당리 등을 목포로 편입.
- 1949년 목포부를 목포시로 개칭.
- 1963년 무안군 상리, 용당리, 달리, 율도등을 목포시로 편입. [2]
- 1987년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 대양리 등을 목포시로 편입.
- 1998년 서해안고속도로 개통 (서울-목포).
- 2004년 고속전철(KTX) 개통 (서울-목포).
- 2005년 전남도청 남악신도시로 이전, (남악신도시-전남도와 목포시가 공동개발)
[편집] 상징
- 시조(市鳥) : 학
- 시화(市花) : 백목련
- 시목(市木) : 비파
- 시어(市魚) :
- 시색(市色) :
- 마스코트 : 포미(浦美)&포포(浦Port)
[편집] 주요 인물
- 김대중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 (전)새천년민주당 총재
- 이난영 : 가수, '목포의 눈물', '목포는 항구다'등
- 허건 : 화가(남종화), (호)남농, 남농기념관.
- 박화성 : 여류소설가, 한국문단의 대모로 칭송.
- 김환기 : 서양화가.
- 장주원 : 옥공예 장인(玉匠), 국가무형문화재 100호
- 김지하 : (본명)김영일, 시인.
- 차범석 : 극작가, 전)대한민국예술원 회장, 대표작/산불, 통곡의 땅, 한국 소극장 연극사
- 남진 : 가수, '가슴 아프게', '님과 함께' 등 제7대 한국연예협회 이사장
[편집] 지리/자연환경
전라남도 남서단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여 동쪽과 남쪽은 영산호 (榮山湖)에 면해 영암군을 마주하고 있으며, 서쪽은 많은 도서들로 이루어진 신안군, 북쪽은 무안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17′∼126°26′, 북위 34°44′∼34°49′에 위치하며, 면적 47.26㎢, 인구 24만2380명이다.
무안반도 남단에 위치한 목포시는 동쪽에 입암산(笠巖山, 121m), 서쪽에 유달산(儒達山, 228m), 북쪽에 양을산(陽乙山, 156m)·대박산(大朴山, 156m)·지적봉(芝積峰, 189m) 등으로 둘러 있고 남쪽은 영산강 하구에 면해 있다. 또한, 그 주위에 13개의 도서가 넓게 펼쳐져 있어 경치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방파제 구실을 하여 천연적인 양항의 조건을 보인다.
시가지의 서남쪽에 병풍을 둘러놓은 듯 기암절벽이 펼쳐진 유달산은 고려시대인 1351년(충정왕 3)에 봉수대가 설치된 곳이기도 하다.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쌓여 있는 것처럼 위장했다는 일명 노적봉 (露積峰)이 있으며, 영산강· 삼학도 (三鶴島)와 함께 이곳 사람들의 시정(詩情)을 돋우는 아름다운 경관을 갖추고 있다.
시가지 주변의 영산강 하구에는 연변·북항·대반동·백련동·갓바위해안 등의 간석지가 있다. 이들 간석지는 육상으로부터의 계속적인 퇴적과 바닷물의 유입횟수가 줄면서 정착하게 된 염생식물 덕분에 퇴적물의 집적과 간척이 용이해져 농경지·주택지·공장부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고하도 (高下島)· 눌도 (訥島)· 달리도 (達里島) 등 6개의 유인도와 7개의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영산강 유역은 강수의 편의율(偏倚率 : 치우치는 정도)이 대단히 커서 매년 상습적인 한해(旱害)·홍수 등의 피해가 빈번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영암군 삼호반도(三湖半島)와의 사이에 하구둑이 축조되어 영산강은 영산호로 변하였다.
[편집] 목포권 관광
[편집] 주요축제
- 난영가요제 : 목포MBC 주관
- 목포가요제 : KBS 목포방송국 주관
- 목포해양문화축제
- 목포사랑은빛갈치축제
- 목포청소년문화축제 : 목포시 주관
[편집] 추천 관광코스
- 유달산 코스 (조각공원, 난 공원, 특정 자생 식물원, 달성 공원, 노적봉, 오포대, 이순신 장군 동상, 1.2등 바위, 성옥기념관, 북항 회타운)
- 삼학도 코스 (소.중.대 삼학도, 이난영공원)
- 갓바위공원 코스 (평화광장, 해양사박물관, 남농기념관, 목포자연사박물관, 영산강하구언, 농업박물관)
[편집] 교통
[편집] 항공
목포공항이 인근 영암군에 위치하고 있어 서울로 연결되고 있다. 또 2008년경에 인근 무안국제공항이 문을 열어 호남권의 중추 공항 역할을 하게되어 목포를 비롯하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주요 도시 및 전라북도의 주요 도시에서도 이용이 용이할 것이다.
- 항공노선 : 서울 - 목포 (매일 1회)
[편집] 철도
호남고속철도 및 호남선 열차의 종착지인 목포역이 있어 서울에서 목포까지 3시간 이내로 접근 가능하고, 향후 2017년 까지 호남고속철도가 완성되면 서울에서 목포까지 1시간 40여분이 소요될 예정이다.
- 목포관내 역 : 목포역(KTX), 임성리역
- 철도노선 : 호남선(KTX, 새마을, 무궁화, 통근열차) / 목포-송정리(광주)-익산-대전-천안-용산(서울)
-
- 경전선(무궁화) / 목포-광주-순천-마산-부전(부산)
[편집] 도로
서울과 목포로 연결된 서해안고속도로가 있어 자가용으로 약 3시간정도 소요된다. 현재 목포와 광양간 고속도로가 공사중이며 2011년경에 개통되면 목포에서 부산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된다. 또한 무안국제공항에서 광주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는 2008년 개통예정으로 목포에서 대구, 울산 등의 주요도시를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고속도로로 연결된다.
- 고속버스 : 서울, 인천(공항), 수원
- 시외버스 : 광주, 대전, 부산, 마산, 울산, 부천, 안산, 동서울, 안양, 여수, 순천, 광양 등 전남 시군.
[편집] 해상
목포에는 국내 연안 및 중국을 연결하는 목포항이 있다. 국내 여객항로로는 흑산도 및 홍도 그리고 신안군의 여러 도서를 연결하는 여객선터미널이 있으며, 중국의 상해를 연결하는 국제카훼리 노선, 그리고 제주도를 연결하는 국내 카훼리 노선이 있다.
- 국제항로 : 목포 - 중국 상해
- 국내항로 : 목포 - 제주, 흑산/홍도, 전남 서남해안 수십여개의 도서 운항
[편집] 목포항 여객선 정보
- 목포-제주도 방면 :
- 대형여객선 씨월드고속훼리(주)-카훼리레인보우, 뉴씨월드고속훼리
- 쾌속여객선 진도운수(주)-컨티넨탈호 (추자도, 벽파도 경유)
- 목포-흑산/홍도 방면 : 쾌속여객선 (주)남해고속, 동양고속(주)
- 목포-비금,도초,안좌,암태,자은도 방면 : (합)대흥상사
- 목포-장산,상태,하의도 방면 : 진도운수(주), 조양운수
- 목포-중국 상하이(上海) : 포시즌크루즈사(주) - KC브리지호
[편집] 향토 특산물
[편집] 바깥 고리
- 목포시 주요기관
- 박물관/기념관
- 교육기관
- 언론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