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셔
요즘 진중귄의 <미학 오딧세이>를 다시 읽고 있어요. 진중권이 에셔의 작품들을 차용해서 미학을 풀어나가죠.
예전에 에셔의 그림을 봤을 때는 '음 신기하군' 하고 넘어 갔었는데 이번에 보니 현실과 비현실,실제와 허구를
넘나드는 것이 뭔가 심오하게 다가오는 것 갇아요.
에셔(1898~1972)
네델란드의 판화가,수학과 논리학의 명제를 다룬 독특한 작품세계로 유명하다. 그는 교묘한 수학적 계산에 따라
작품활동을 했는데, 특히 이상한 고리(뫼비우스의 띠)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주제였다. 미국의 인지과학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인간지성의 한계를 다룬 <괴테,에셔,바흐>라는 책에서 이상한 고리, 괴테의 불완전성의 정리,바흐의
무한히 상승하는 카논을 함께 묶어 '영원한 황금실'이라 불렀다.
에셔가 주로 다루는 주제들
1)여러 세계의 넘나듦 2)평면의 균등분할 3)거울에 비춘 상 4)변형 5)칼레이도치클루스와 나선형
6)3차원 환영의 파괴 7)불가능한 형태 8)무한성에의 접근 9)이율배반 10)뫼비우스의 띠
<도마뱀> 석판 1943년
도마뱀은 그림에서 나와 다시 그림 속으로 들어간다. 저 조그만 파충류들이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고 있다.
그림속의 도마뱀들을 보면 여러 마리가 교묘하게 맞물려 있다. 에셔가 자주 사용하던 주제 중 하나인 '평면의 균등분할'이다.
이걸 이용하면 똑같은 모양의 그림이 사방으로 무한히 뻗어나가게 할 수 있다.
<만남> 석판 1944년
뒤편 무에서 인물들이 탄생하고 있다. 무에서 평면으로 다시 공간으로.
<유리병이 있는 정물> 석판 1934년
저 새 조각은 에셔가 장인에게서 선물로 받은 거라고 한다. 한편에 사람 머리를 한 새의 조각이 있고,다른 한편에 유리병에 반사된
상이 있다. 여기서 현실과 가상의 넘나듬이 발생한다.
<거을이 있는 정물> 석판 1934년
거울 속의 세계와 현실. 에셔는 종종 이 두 세계를 하나로 결합하곤 했다.
<말씀> 석판 1942년
<원의 극한(천국과 지옥)> 석판 1960년
<유리 구슬을 든 손> 석판 1935년
<볼록과 오목> 석판 1955년
<연대의 끈> 석판 1956년
그림 속 인물은 에셔와 그의 부인이다.
<뱀> 석판 1969년
<그리는 손> 석판 1948년
<모비우스의 띠2(불개미)> 석판 196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