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서랍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1 한국건축문화대상 수상작 공유주택 숭인공간 | 한국건축문화대상 신진건축사부분 숭인공간은 서울 종로구 숭인동에 자리하는 공유주택이다. 부지는 23평으로 작지만, 건축가는 지상 5층 규모에 사용 면적 50여 평의 주택을 계획했고, 이 공간을 집이 필요한 사람들과 함께 누릴 수 있는 공용주택으로 완공했다. 글 스페이스매터 건축사사무소 | 진행 이수민 기자 | 사진 최진보 터치하세요 입면도(동측면도.서측면도). 터치하세요 입면도(남측면도/북측면도). HOUSE NOTE DATA 위치 서울시 종로구 숭인동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건축규모 지상 5층 용도 공유공간+공유주택 (단독주택+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76.7㎡(23.20평) 건축면적 45.34㎡(13.71평) 건폐율 58.57% 연면적 153.90㎡(46.55평.. 더보기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제물론(齊物論)-장자(莊子) 南郭子綦隱机而坐(남곽자기은궤이좌) : 남곽자기가 책상에 기대어 앉아 있다가 仰天而噓(앙천이허) : 하늘을 우러러 보며 빙그레 미소지었다. 荅言似喪其耦(답언사상기우) : 육신이해체되어 흡사 몸이라는 짝을 버린 듯했다. 顔成子游立侍乎前曰(안성자유립시호전왈) : 안성자유가 앞에서 모시고 있다가 물었다. 何居乎(하거호) : "무슨 까닭입니까? 形固可使如槁木(형고가사여고목) : 육신을 마른 장작 같게 하고 而心固可使如死灰乎(이심고가사여사회호) : 마음을 참으로 불꺼진 재와 같게 할 수 있습니까? 今之隱机者(금지은궤자) : 지금 책상에 기대어 계신 모습은 非昔之隱机者也(비석지은궤자야) : 예전의 그 모습과는 아주 다릅니다." 子綦曰(자기왈) : 남곽자기가 대답했다. 偃不亦善乎(언불역선호.. 더보기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제물론(齊物論)-장자(莊子) 南郭子綦隱机而坐(남곽자기은궤이좌) : 남곽자기가 책상에 기대어 앉아 있다가 仰天而噓(앙천이허) : 하늘을 우러러 보며 빙그레 미소지었다. 荅言似喪其耦(답언사상기우) : 육신이해체되어 흡사 몸이라는 짝을 버린 듯했다. 顔成子游立侍乎前曰(안성자유립시호전왈) : 안성자유가 앞에서 모시고 있다가 물었다. 何居乎(하거호) : "무슨 까닭입니까? 形固可使如槁木(형고가사여고목) : 육신을 마른 장작 같게 하고 而心固可使如死灰乎(이심고가사여사회호) : 마음을 참으로 불꺼진 재와 같게 할 수 있습니까? 今之隱机者(금지은궤자) : 지금 책상에 기대어 계신 모습은 非昔之隱机者也(비석지은궤자야) : 예전의 그 모습과는 아주 다릅니다." 子綦曰(자기왈) : 남곽자기가 대답했다. 偃不亦善乎(언불역선호.. 더보기 필적학 3 필적학 ( 筆跡學 · Graphology ) http://blog.naver.com/poam/80066315285 서울대 법대 재학 중 사법시험(1988년·30회)에 합격했다. 20년 가까운 검사 생활의 대부분을 조직폭력·마약·살인 등 강력범죄 수사로 보냈다. 수많은 범죄자·증인·목격자·참고인을 만나면서 누가 진실을 말하고 거짓으로 .. 더보기 필적학 2 필적학/필상학 (Graphology) 사람들의 성격과 필체를 통해 그 사람의 심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 손글씨가 우리 행동의 무의식적인 측면을 드러낸다고 가정한다. 글씨체와 각각의 서명체를 분석하여 성격이나 그 글자를 썼을 당시의 심리적 상태를 알 수 있다. 5가지의 주된 성격 분류 새.. 더보기 필적학 1 간단한 필적학 강의 필체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일은 길고도 긴 작업이다. 필체 분석가들은 우선 각 글자의 크기뿐만 아니라 위로는 상대적으로 얼마나 높이 올라가며 아래는 또 얼마나 깊이 내려가는지 확인하는 일부터 시작한다. 즉, 각각의 글자를 세로로 3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가운.. 더보기 [스크랩] 숫자로 본 인체의 신비 (두고 두고 꼭 읽어 보세요) 숫자로 본 인체의 신비 사람들은 제 몸에 관련 돼서도 이런 저런 숫자를 듣는다면“야, 굉장하구나” 하고 마치 인체를 다 이해하는 것처럼 생각할지 모르겠다. 이제 몸에 관련된 몇 가지 숫자를 살펴 보자. 성인에서 몸을 이루는 뼈는 206개, 근육 5~600개, 관절은 100개 이상이다. 혈관의 길.. 더보기 별자리와 28수 이야기 별자리와 28수 이야기 185-1 동 : 각(角). 항(亢). 저(低). 방(房). 심(心). 미(尾). 기(箕) 북 : 두(斗). 우(牛). 녀(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서 : 규(奎). 루(樓). 위(胃). 묘(昴). 필(畢). 자(?). 삼(參) 남 : 정(井). 귀(鬼). 류(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 [FILE] 별자리 이야기.hwp (88.00KB) 출처.. 더보기 이전 1 2 3 4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