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둘레 길(1구간) - 남원 매동마을 ~ 함양 금계마을 | ||||||||||||||||||||||||||||||||||||||||||||||||||||
| ||||||||||||||||||||||||||||||||||||||||||||||||||||
지리산은 연간 수십만의 등산객이 찾는 명산이다. 지리산에 최근 등산이 아니라 산책을 하는 사람이 늘었다. 이유는 지금까지의 등산의 개념과 구분되는 걷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이 길은 산을 둘러싸는 둘레 800리 길로 곧장 오르지 않고 에둘러 가는 길이다. 지리산 순례 길인 셈이다. 속도의 길이 아니라 느림의 길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취지다. 국내 최초의 장거리 도보길이다. 지난해 시작한 지리산 둘레길 사업은 2011년에 마무리된다. 전라남북도와 경남지역 지리산 자락 100여 개 마을이 포함된 지리산 길은 옛날 숲길이다. 5개 권역으로 나뉘어 있는 지리산 길 전체 구간은 300㎞이며 그중 2개 구간 20㎞가 개방되었다. 그중 전북 남원 산내면 매동마을~경남 함양 금계마을에 이르는 1구간(13㎞)을 먼저 다녀왔다. ◇매동마을 풍경 = 매동마을에 들어서니 지리산 길 표지판이 손님을 맞는다. 표지판 옆으로 매향정이란 마을 정자가 있다. 정자에서는 노인 세 분이 각자의 일에 열중이다. 한 분은 눈을 감고 누웠고, 다른 한 분은 누워서 책을 펼쳤고, 또 다른 분은 양반다리를 하고 독서 삼매경에 빠졌다. 인기척을 느꼈는지 노인 한 분이 돋보기 안경 너머로 알은체를 한다. 이어 매동마을 찬양을 40분 이상 들었는데 전라북도의 독특한 억양이 자연스러워질 정도였다. 정자 한쪽 구석에는 서울에서 왔다는 어머니와 딸이 구간 일정을 짜고 있었다. 같이 출발하자는 말에도 이들 모자는 조금 더 검토해야 할 것이 있다며 손사래를 친다. '지피지기'라지만 '유비무환'이 심하다는 생각을 잠깐 했다. 둘레 300㎞, 100개 마을 잇는 도보 코스 개통 계획…20㎞ 시범코스 개방 ◇친절한 길잡이 말뚝 = 매동마을을 출발해 얼마 되지 않아 첫 길잡이 말뚝이 보인다. 지리산 길 요소요소 여러 가지 길 안내 푯말과 표지판들이 잘 되어 있다. 화살표 위 가로줄은 전라도에서는 빨간색, 경상도에서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있다. 아래의 화살표 방향 표시는 빨간색 방향과 검은색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매동마을에서 출발하는 남원~함양 길은 빨간색 화살표 방향이고 반대로 함양~남원 길은 검은색 화살표 방향이다. 가끔 도로에 바로 페인트로 표시해 놓은 안내도 있다. 빨간색 리본도 길 찾는 사람에게 손짓한다.
◇산은 산이고 길은 길이다 = 지리산 둘레길은 새로운 길이 아니라 이름을 붙이기 이전부터 구간구간 존재했던 길이다. 일부 구간은 빨치산이 다니던 길이기도 하고 송이꾼들이 왔다갔다해 송이길이란 이름이 붙여진 길도 있다. 마을과 마을을 연결하는 샛길도 있고 고추밭을 가로지르는 밭길도 있다. 게다가 밤길에는 무서워 지나지도 않을 무덤 옆길도 있다. 옹달샘 하나가 나온다. 마시기보다 손과 얼굴을 씻는데 적당해 보인다. 산에서 흐르는 물이라 시원하다. 얼굴의 물기가 다 마르기 전에 두 번째 마을인 중황마을에 도착한다. 마을 입구에는 할머니 한 분이 앉아 계신다. 지리산 길이 생기고부터 할머니는 새로운 버릇이 생겼다.
심심하기만 하면 길옆에서 앉아 사람구경을 하기 시작한다. 사람 한번 구경하기 어려운 시골마을에 전국에서 온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땀을 흘리며 지나다니는 것을 보는 게 산골마을에서의 유일한 취미라고 한다. 마을창고 뒤 지하수가 시원하다며 씻고 가라고도 하고, 공짜로 자신의 집에서 자고 가라고도 한다. 위 논의 물이 넘치면 아래 논에 자연스럽게 받아서 다음 논까지 물이 흐르는 시스템이다. 지리산 길 1구간을 '다랭이 길'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누가 어떤 기종의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도 그림이 되는 길이다. 이곳 마을을 통과하는 지리산 길에는 오가는 사람들에게 물과 맥주를 파는 간이매점이 있다. 농부들이 경운기로 싣고 온 듯하다. 등구재를 넘기 전 할머니와 쓸데없이 비교하기 시작한다. 당연히 물이 필요한 사람에게 물을 파는 것은 바람직한 경제활동이라고 자위해본다. 이 마을에선 꼭 지리산 주능선을 바라보며 쉬어가는 여유를 부릴 필요가 있다.
길을 만들지 않고 있는 길을 이어서 재활용한 지리산 길은 수십억 원을 들여 닦은 자동차도로보다 더 시대를 앞서가는 듯하다. 주변에 가볼만한 곳<실상사>
사찰 입구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큰 법당인 보광전이 있다. 보광전 앞에는 장중한 석등과 훤칠한 삼층석탑 두 기가 관람객의 눈을 확 이끈다. 보통 사람 키의 3배는 됨직한 거대한 석등은 3단의 돌계단에 올라서야 겨우 등에 불을 켤 수 있을 정도로 높다. 거대한 석등도 볼거리지만 옆에 놓인 돌계단을 올라 불을 붙이는 것은 국내 유일의 방식이다. 보광전 오른쪽에는 약사전이 있다. 약사전에는 통일신라시대 4000근의 철을 재료로 만든 철제약사여래좌상이 버티고 있다. 마침 불전함의 돈을 거두는 광경이 눈에 포착된다. 뭉칫돈까지 한 보따리를 가득 채운다. 병든 이들이 많이 찾는 약사전인 만큼 절 안에서 가장 큰 수입원이다. 생태 뒷간(화장실)은 그야말로 친자연적이다. 대소변을 비료로 쓰고자 신식 좌변기 대신 톱밥과 배설물을 그대로 섞는 방식이다. 안내문에는 '냄새는 나지만 가장 환경적인 생태뒷간'이라며 이용객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입장료 1500원.
| ||||||||||||||||||||||||||||||||||||||||||||||||||||
'낯선골목길을걷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리산 둘레길 (0) | 2009.01.03 |
---|---|
[스크랩] 지중해, 내 푸른 로망 (0) | 2008.10.25 |
지리산 800리 도보길 (0) | 2008.06.05 |
[스크랩] 남도 유람6-해남(녹우당, 미황사) (0) | 2008.05.18 |
송성가무쇼 (0) | 2008.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