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상서랍

평행이론

평행이론

 

   ‘서로 다른 시대의 두 사람이 같은 운명을 반복한다’는 ‘평행이론’

   ‘링컨, 케네디.. 100년의 시차! 같은 삶의 반복!’

   ‘내게 누군가의 인생이 반복되고 있다!’는 섬뜩한 카피는 ‘

   평행이론’의 충격적 운명의 규칙을 전한다

   ‘평행이론’의 대표적인 사례인 링컨 – 케네디가 100년을 주기로 같은 운명을 반복했다는 증거 화면으로

   시작,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하며 호기심을 자극한다.

 

   다른 시대를 사는 사람이 같은 삶을 반복해 산다는 '평행이론'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미국의 두 대통령인 링컨과 케네디다.
   링컨과 케네디가 의원에 당선된 해는 1846년과 1946년, 대통령에 당선된 해는 1860년과 1960년이다.

   두 사람은 금요일에 각각 포드 극장과 포드자동차에서 암살됐고, 암살범은 각각 1839년생과 1939년생이었다.
 

  영화 '평행이론'은 이런 흥미로운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둔 동명의 이론을 전면에 내세운다.

   원제는 '패러렐 라이프'이다. 권호영이 감독을 맡았으며 지진희, 이종혁, 윤세아 주연이다.

   서로 다른 시대를 사는 두 사람의 운명이 같은 패턴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평행이론의 악몽을 다룬 스릴러이다.

 

 

 -----------------------------------------------------------------------------------------------------------

 

 

  다중 우주론(多重宇宙論)은,

 우주가 여러 가지 일어나는 일들과 조건에 의해 통상적으로 갈래가 나뉘어,

 서로 다른 일이 일어나는 우주가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곳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평행우주론"(平行宇宙論)이라고도 한다.

우리 우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그리고, 평행하게 진행하고 있는 다른 우주를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상,

즉, ‘관측할 수 없는 것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물리학적으로 이상하다는 견해도 있다.

 다중우주론을 이용하면,

 시간 여행에 의한 시간 파라독스가 발생하지 않아,

 타임 머신 같은 기기를 만들 수 있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과거로 돌아가 어떠한 영향을 주었다 하더라도 이에 영향받은 우주와 관계가 없는 우주가 평행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

 

 

 
"평행 우주"이론
 
이 세상 어디엔가는 또 다른 "나"가 존재하며,
또 다른 "지구"가 존재하며,
또 다른 "은하"가 존재하며....
나아가 수없이 많은 "나", "지구", "우주" ... 기타등등이 존재한다는 이론
"평행 우주"이론을 담은 영화
"매트릭스", "데자뷰", "페이첵", "마이너리티리포트", "더 원","큐브" 등등 
 어떤 사람은 "친절한 금자씨"를  복수극 씨리즈 선상에서 볼때 평행 우주 이론에 입각한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
 
 
우주론에 3가지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1.평탄한우주론(평형)
2.닫힌우주론
3.열린우주론
우주론이란 뭘 말하냐면, 우주의 미래가 최종적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한 예측을 말합니다.
우주는 초기 대폭발로 인해, 끊임없이 팽창하는 중입니다만, 각 입자사이의 중력, 즉 각 입자의 질량에 따른 힘에 의해, 팽창하는 동시에 인력도 또한 받고있죠. 그런데, 이 우주 전체에 퍼져있는 모든 입자의 밀도, 즉 질량/부피 가 어떤 값을 가지냐에 따라 3가지 형태의 미래가 있을수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 평탄한 우주론이란, 팽창력과, 물질의 인력이 어느선에서 평형을 이뤄서 일정 시간이 지난뒤에는 우리우주가 영원히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이론입니다. 이 평탄해질수 있는 밀도를 임계 밀도라고 부릅니다.
두번째 닫힌 우주론이란 밀도가 임계밀도보다 큰 상태, 즉 우주 전체의 질량이 첫번째 상태보다 무거운 상태를 말합니다. 우주 팽창속도는 알려져있기때문에, 부피는 임계밀도를 구하는데 큰 차이가 나지 않고, 이 질량이란 것이 중요한데, 입자들의 총 질량이 평탄한우주론보다 큰 경우에는 중력이 팽창력을 압도해서, 초기 대폭발-big bang 의 반대 개념인 big crunch가 일어나서 다시 우주가 한점으로 수축된다는 이론입니다.
세번째 열린 우주론이란, 밀도가 임계밀도보다 작아서, 팽창력이 영원히 수축력을 압도해서 우주가 영원히 팽창한다는 이론입니다.
평탄 우주론에서는, 시공이 균형을 이루고 있기에,(공간과 중력은 떼놓고 생각할수 없는 개념입니다)
말그대로, 공간자체가 편평한 상태, 즉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 인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할수 있습니다
닫힌 우주론은, 중력에 의해 시공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이므로, 구면에 가까운 공간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공간에서 삼각형을 그리게되면, 내각의 합이 180도를 넘어간다고 합니다
열린 우주론에서는, 팽창력에 의해 시공이 구부러져 있어, 공간이 말안장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태로서, 삼각형을 그리게되면 내각의 합이 180도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얼마전 신문을 보니, 우리 우주는 열린 우주론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군요. 개인적으로 평형우주론이 가장 이상적으로 좋은 상태가 될거라고 생각했지만, 역시 우리우주에도 종말은 있는 모양입니다.

 

 

-------------------------------------------------------------------------------------------------------------------------

 

현 우주의 반물질적 우주 음에너지적 평행 우주가 원판이군요

제가 주어 들은 평행이론은 우리가사는 우주 1개만 있는게 아니고 우리우주와 평행한 무수히 많은 우주가 있다는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서 내가 지금 이우주에서는 평범한 회사원으로 살고 있다고 한다면 다른 우주중에는 내가 대통령이 되어있는 우주도 있고 갑부가 되어있는 우주도 있고 그런것이지요

우주가 많은 많큼 그우주에 무수히 많은 우주가 있겠고 내가 태어나지 못하는 우주도 많겠지요

블랙홀 처럼 공간을 크게 왜곡하는 물체경우 공간 왜곡 부분이 뚤리게 되고 이부분에 평행우주가 연결 된다면 다른우주에 살고 있는 또다른 나를 만날수도 있겠지요

(물론 블랙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느냐와 웜홀 같이 공간의 구멍이 존재하느냐의 문제는 남아있겠지요 과학자들 말로는 웜홀이 있어도 크기가 워낙작고 금방 사라지기 때문에 이용이 힘들거라고 하는걸 책에서 봤습니다.)

아마 영화중에 이연걸주연의 더원이라는 영화가 이거에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

 

 ---------------------------------------------------------------------------------------------------------------------

 

 

 

미치오 카쿠의 저서인 평행우주

앞 페이지에 나와있는 아이슈타인의 말.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경험 중 가장 아름다운 것은 신비이다.

신비는 예술과 과학의 근본을 이루는 진정한 모태이다.

이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확실한 길만을 추구하는 과학자는

결코 우주를 맑은 눈으로 볼 수 없다.

 

 

'책상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 스님께   (0) 2010.03.12
한국의 아름다운 섬, 독도를 방문하세요  (0) 2010.03.01
[스크랩] 1시간 만에 그리는 연필초상화  (0) 2010.01.17
2010년 국내 10대 trend  (0) 2010.01.16
팽귄을 날게 하라  (0) 201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