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상서랍

[스크랩]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에 대하여

우리별자리(현암사간)에 있는 내용을 옮겨보면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고구려에서 전해 내려온 돌 천문도를 바탕으로 1395년 조선 태조 때 만든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문 유산이다..

 

전란으로 불타 버렸다가 숙종 13년인 1687년에 남아있던 복사본을 바탕으로 새로운 돌에 다시 새겼다..

영조때 천문을 맡은 관리가 돌 천문도를 발견하였고

보고를 받은 영조가 호조판에서에게 명하여

흠경각에 태조본 돌 천문도와 숙종본 돌 천문도를 함께 보관하게하였다..

당시 보존 상태가 좋았던 숙종본은 따로 목판에 새겨서 120부를 인쇄하여 널리 퍼지게하였다..

 

가운데에 테를 두른 동그라미 안에는 크고 작은 별자리 1,464개쯤을 담았으며,

별자리마다 옆에 이름을 새겼다..

북극을 둘러싼 주극원, 28수의 구획선, 적도, 황도, 은하수 등을 그려놓았고,

귀퉁이와 아래에는 동양의 우주관과 이 천문도의 내력을 설명했다..

 

 

이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처음 보았을때는 왠지 복잡하여 어렵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그당시에 알고있었던 내용이라곤 이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일부분이 만원권지폐의 뒷면에

혼천의와 함께 그려져있다는 정도였다..

 

우리별자리(현암사간)의 책을 틈틈히 읽으면서

서양별자리판과 우리별자리를 비교하여 별을 관측하다보니

바로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자리판이야말로

보다 쉽게 별자리를 공부할수있다는것을 알게되었다..

 

왜냐하면 서양별자리는 하늘을 88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져 한눈에 찾기어려우나

우리별자리는 보다 세분화되어있기 때문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간 우리별자리란 책을 통해 배웠던 내용을 표시하여보았다..

28수와 자미원과 태미원 천시원 그리고 북두칠성과 삼태성의 위치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주된 내용에 대해 우리별자리란 책의 내용을 옮겨보면

 

 

옛우리 조상은 이처럼 하늘의 별자리를 크게 보아 일곱영역으로 나누었다.

즉 북극성 주변에 있는 일년내내 볼수있는 별자리는 자미원으로 정해 두었고,

그 아래에 봄철별자리와 여름철별자리 일부를 태미원과 천시원으로 나누었으며

여기에 사방 칠사 별자리가 청룡 백호 주작 현무 사령의 모습을 하고있다고 생각했다..

결국 동양별자리는 이러한 사령과 태미원의 대신, 천시원의 일반 백성이

자미원에 사는 하늘 나라 임금을 옹위하는 형상이다.. (중략)

 

 

28수에 대하여 우리별자리(현암사간)의 내용을 옮겨보면..

 

달은 날마다 하늘에 나타나는 위치가 달라지다가 28일쯤 지나면 다시 제자리에 돌아온다..

그래서 동양사람은 매일 하늘에서 보이는 달의 위치를 기준으로

별자리를 스물여덟개로 나누어 28수(宿)라고 하였다..

 

28수를 일곱개씩 넷으로 나누어 봄 여름 가을 겨울과 동서남북에 배정했다..

네 방위에 있는 별자리를 모아 동방칠사, 동방칠수 식으로 이름을 지었으며,

그 모습은 그 방향을 지키는 방위신인 사령(四靈)을 본떴다..(중략)

 

동사칠사는 각항저방심미기(角亢氐房心尾箕)으로 청룡의 모습을

북방칠사는 두우녀허위실벽(斗牛女虛危室壁)으로 현무의 모습을

서방칠사는 규루위묘필자삼(奎婁胃昴畢觜參)으로 백호의 모습을

남방칠사는 정귀류성장익진(井鬼柳星張翼軫)으로 주작의 모습을 본떠 만든 별자리이름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를 관심있게 보면 28수별자리 이름뿐만 아니라 별의 수도 표시되어있다..

예컨대 서양별자리로 전갈자리는 동양별자리로 방수 심수 미수의 세개의 별자리에 해당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방수는 房四로 별 4개..

심수에 대해서 心三로 별은 3개..

미수는 尾九로 아홉개의 별로 되어있다고 표시되어있다..

또한 이 순서는 별이 뜨는 순서이기도 하다..

 

그러니 커다란 전갈자리의 전체의 모습을 찾아보는것보다 세분화하여 찾는것이 더 쉬울수밖에 없다..

또한 별이 뜨고 있을때엔 전체 전갈자리의 모습이 떠오르지않아도 동양별자리로 쉽게 찾을수가 있다..

그 별자리의 모습은 밝고 왠만하면 한눈에 보이는 별이기도하므로 익숙해지면 헷갈릴 것이 거의 없다..

 

방수 심수 미수란 용어가 한자어이지만 그 한자어도 그리 어려울것은 없다..

동방칠사의 일부분인 방수 심수 미수는

한자 뜻 그대로 청룡의 배 심장 꼬리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심수는 청룡의 심장이란 뜻의 心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그 심수를 이루는 세별중에 붉게 빛나는 일등성에 대해서 청룡의 심장으로 보아 심대성(心大星)이라 불렀는데

그것을 서양별자리로 익힌다면 그리스어인 안타레스(Antares)에 해당한다..

안타레스란 생소한 용어보단 한자를 어느정도 알고있는 상태에선 심대성이란 말이 더 쉽게 느껴진다..

 

이처럼 내가 서양별자리를 익히면서 동양별자리에 관심을 갖게된것은

동양별자리로 별을 찾는것이 더 찾기 쉽고 이해하기 쉬워서였다.. 

공부도 파트를 나누어 핵심적인 것을 반복적으로 익히고 전체를 생각해보면

전체의 내용이 저절로 파악이 되듯이

별자리 공부 또한 그렇다고 생각한다..

 

어찌보면 황당한 그리스 신화에 입각한 서양별자리보다

그보다 세분화되어 전체적인 줄거리에 의해 그려진 동양별자리가 훨 쉬울수밖에 없다..

특히 태양과 달을 비롯하여 오행성의 움직임을 중요시하였으므로

동양별자리를 보다보면 태양과 달과 오행성이 다니는 황도12궁 별자리를 이해하기가 훨 쉽다..

단지 그것이 한자어로 되어있어 어려워보일뿐이다..

 

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등 특별한 관측기구가 없었던 그당시에

맨눈으로 잘 보이는 별들로 그 별자리 모습을 요약하여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옮겨져있으니

공부로 말하면 언뜻봐서 왠지 어렵고 무질서하게 보이는 내용을

간략하게 알기쉽게 설명해놓은 교과서로 보여진다..

 

알고보면 천상열차분야지도는 누구나 쉽게 익힐수있는 별자리판이라는 생각이 든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별의 위치는 물론 은하수의 위치와 적도와 황도가 그려져있다는것외에도

그 별의 수도 친절하게 적혀져있는 것을 보면서

보면 볼수록 대단한 천문도란 생각이 든다..

출처 : 황아찌..
글쓴이 : 황아찌 원글보기
메모 :

'책상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자리와 28수 이야기  (0) 2018.03.18
[스크랩] 천상열차분야지도 한글번역본  (0) 2017.11.21
홍범  (0) 2017.05.22
[스크랩] 1주일 만에 효과 보는 세계 최고의 공부법  (0) 2016.12.20
프리다칼로  (0)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