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그리움이멈추는곳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목포의옛날사진들3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일제시대 조선인 마을풍경 일제시대 일본인 마을풍경 일제시대 상락동 전경 현 경동거리의 일제시기의 모습 일제시대 경찰서 전경으로 현 초원관광호텔 나이트 입구와 일치 곡물 검사장 공립상업학교.. 더보기 [스크랩] 목포의옛날사진들1 목포프렌치병원 직원들 목포해원-목포에서 일하는 선원들의 휴식처 및 숙박시설(만호동에위치) 목포형무소정문 지금은 일로로 옮겨간 목포교도소 지금의 일신아파트옆 목포형무소 옥사 내부 풍경 무안통-현재 기업은행 앞거리 현재 기업은행에서 오거리쪽으로 일제시기의 모습 -무안통 무진주식회.. 더보기 [스크랩] 목포의옛날사진들2 목포부립병원 현 유달초등학교 부근,원래 명칭은 목포거류민단촉탁 병원이었다 후에 목포시민병원으로 사용되었다가 시민병원이 목포의료원으로 개칭후 이전하자 철거되었다. 목포성미회 1919년 사단법인으로 설립 전과자보호 석방자보호 재범방지을위함 당시 죽동 96번지에 위치함 목포소방조 일.. 더보기 정명여자중학교 정명여학교(현 정명여자중·고교) 분 류: 비지정 명 칭: 목포정명여학교(木浦貞明女學校) 소 재 지: 목포시 양동 86번지 설립시기: 1903년 9월 9일 ◈ 개 요 1903년 9월 9일 미국 남장로교 선교회에서 설립하여 동월 15일에 개교하였다. 당초에는 양동 86번지 선교회 부속건물을 가교사로 교명을 목포여학교라.. 더보기 김우진 김우진 이 름 김우진(金祐鎭) Kim woo jin 아 호 수산(水山) 또는 초성(焦星) 생년월일 1897∼1926. 8. 4 출 생 지 장 성 분 류 근대극작가(문학/희곡) 생 애 김우진은 1897년 안동 김씨의 후예인 목포의 갑부요 개화사상가이자 목포 개항 당시 무안 감리 (務安 監理)를 지낸 김성규(金星圭 1863-1936)의 장남으로 태.. 더보기 박화성 박화성 이 름 박화성(朴花城) Park hwa sung 아 호 소영(素影) / 본명: 경순 생년 월일 1904. 4. 12∼1988. 1 출 생 지 목포 활동 분야 문학/소설가 생 애 개화기에 목포에서 태어난 한국문학의 선구자 素影 박화성 선생은 개척자의 생애가 그러하듯, 외롭고 어려운 속에서도 끊임없는 도전과 정진으로 우리 문학.. 더보기 사진으로 보는 목포 100년 호남은행 3거리 앞[531] 청물시장[347] 철도병원[331] 조선인 마을 풍경[599] 조선은행[315] 정토사[280] 정명여학교 기숙사[325] 정명여학교 뒷길[368] 동양척식주식회사[585] 목포청년회관[310] 일제시대 일본인 마을[625] 이난영[417] 의병[369] 윤치호와 목포공생원아들[396] 윤치호와 윤학자[470] 유달산 전경[670 더보기 사진으로 보는 목포 100년 목포우체국[310] 오거리[402] 옛 고하도 풍경[249] 영정[258] 역주변[370] 앵정유곽[243] 십팔은행[172] 심상소학교[200] 신사(개항35주년 기념식)[203] 식산은행[146] 송도신사[167] 상반정[158] 상무관[140] 봉안전[181] 본정통-일본인 거리[395] 초창기 중앙공설시장[244] 무진주식회사[121] 무안통2[153] 무안통1[175] 목포형..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